taeeyeong

  • 홈
  • 태그
  • 방명록

유의성검사 1

Permutation test 비모수 검정

Permutation을 이용한 significance 검사는 주로 비모수적(non parametric)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데이터의 label를 무작위로 교환(permute)하여, 실제 관찰된 효과가 무작위 분포에 비해 얼마나 특이한지를 평가합니다. 여기서는 permutation test의 기본적인 절차를 설명하겠습니다. 1. Null Hypothesis 설정: 먼저, 귀무 가설(null hypothesis)을 설정합니다. 귀무 가설은 보통 '관찰된 효과가 우연에 의한 것이다' 또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다'와 같이 설정됩니다. 또는 다중 선형 회귀에서는 "회귀 계수가 0과 다르지 않다"라고 설정합니다. 2. Test Statistic 계산: 실제 데이터에 대해 test statistic (예: ..

Statistics & Mathematics 2024.01.22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taeeyeong

Bioinformatics / AI

  • 분류 전체보기
    • Bioinformatics
    • Deep learning
    • AWS
    • Team work
    • Statistics & Mathematics
    • Development
    • Joy of Reading

Tag

AI연구인터뷰, tumor cells, oligonucleotide, transformer, pytorch, 음악 생성 모델, Multi-head attention, 샘플링레이트, 깃커밋템플릿, 딥러닝 기법, scrnaseq, 싱글셀, music generative model, AI엔지니어인터뷰, splice-switching, single cell rna seq, github, git commit template, 딥러닝, 유의성검사,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